설계, 개발을 하다보면 결정을 해야할 순간이 많은데,
최선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할 것이 많다. 하지만 경우에 따라 직관적으로 선택하거나 기분에 따라 선택하기도 한다.
최선의 의사결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결정 시 적용해보면 좀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.
- 내용 출처 : <<자신있게 결정하라>> 칩 히스, 댄 히스
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려야 후회할 확률이 낮아질까?
연구결과 탁월한 결정을 하는데 최종 의사결정자의 직관이나 전문가 그룹의 분석보다 프로세스가 6배나 더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.
프로세스는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일종의 과정, 예를 들어 최종 의사 결정자가 선택하기 전에 반대 의견을 꼭 수렴해야 하는 제도가 있다는 것 등을 말한다. 아무리 분석이 좋다 하더라도 훌륭한 의사결정 프로세스가 없으면 무용지물 되는 경우가 많다.
반대로 적절한 프로세스가 있는 경우 그 분석은 의사결정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. 결국, 의사결정을 할 때 적절한 프로세스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의사결정 수준이 달라진다는 것이다.
WRAP 프로세스
1. 선택안은 정말 충분한가? (Widen your options)
- 하나의 선택안을 놓고 그것을 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경우 52%가 실패
- 2개 이상의 대안을 고려했을 경우 실패율이 32%로 낮아진다
- 선택안을 늘릴수록 성공적인 의사결정 할 확률이 높아진다
- 선택안을 늘리기 위해 주변에 조언을 구하거나 많은 독서를 하는 것도 필요하다
2. 검증의 과정은 거쳤는가? (Reality-test your assumptions?)
- 확증 편향을 조심해야 한다
- 확증 편향 : 실제 마음속으로는 이미 어느 정도 결정 한 뒤 그 결정을 뒷받침하는 정보만 선별 수집하려는 것
- 자료 수집 시 객관성을 가져야하며 잠정적 선택에 반대되는 근거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아야 봐야한다
- 검증 시는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보아야 한다
- 숲 : 이론, 통계, 전문가의 견해를 참조
- 나무 : 현장에 직접 가거나 사람들과 접촉
3. 충분한 심리적 거리는 확보했는가? (Attain distance before deciding)
- 순간적인 욕심, 욕정, 불안, 분노 등이 최악의 결정에 이르게 한다
- 내 결정이 아니라 친한 친구의 결정이라고 상상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(타인의 결정에 대해서는 감정 배제를 잘함)
4. 실패의 비용은 준비했는가? (Prepare to be wrong)
- 최악의 상황을 상상하고 플랜B, 플랜C 더 나아가 플랜Z까지 생각해 놓을 필요가 있다
- 실패 시 그것을 빠르게 복구할 수 있음
WRAP 프로세스를 모든 의사결정에 적용할 필요는 없지만 5분 이상의 고민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면 좋다.
WRAP 프로세스를 한다고 해서 매번 최상의 선택이 되는 것은 아니다.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홍콩 여행기 (0) | 2023.10.12 |
---|---|
신중한 사람이 큰 결정을 할 때는 오히려 막 결정하게 되는 이유는? (0) | 2023.04.14 |
팀이 빠지기 쉬운 5가지 함정 책 요약 내용 (0) | 2022.12.11 |
Queen(퀸), 프레디 머큐리 노래 추천 (0) | 2021.09.27 |
블로그를 시작합니다. (0) | 2016.06.29 |